본문 바로가기

청년실업2

청년 장기 실업자 증가세…원인 분석과 정책 대안 청년 실업은 경제와 사회의 건강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15~29세 청년층의 장기 실업은 수년간 감소세를 보였지만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 2025년 4월 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개월 이상 구직 활동을 지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일할 곳을 찾지 못한 청년층 장기 실업자는 6만900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23년 대비 2000명이 늘어난 수치로, 청년 고용 시장이 악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지난해 전체 장기 실업자 22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한 비율은 30.2%로, 10명 중 3명 이상이 청년층 실업자로 나타났습니다. 노동시장에 오래 머물지 못하는 이들 청년층 비율은 고용 회복에 주요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노동시장에서 이들이 겪는 낙인효과는.. 2025. 4. 8.
취업난 심화에 박사도 백수 시대…청년 박사 절반 실업 충격 대한민국의 고학력자 취업난이 극심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박사 학위 수여자 10명 중 3명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백수’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30세 미만 청년 박사의 절반 가까이가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로, 우리 사회의 고용 시장 문제가 각 학문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성취를 이룬 인재들에게까지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난해 박사 취득자 29.6%, 일자리 없이 ‘무직’ 상태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2024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만442명 중 70.4%만이 현재 재직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상태였습니다.  나머지 29.6%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거나 구직 활동 자체를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 2025.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