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2월 한국 수출 반등…무역수지 흑자 전환 이유는?

by 행복한리더 2025. 3. 1.
반응형

 

20252월 한국의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한 526억 달러를 기록하며 플러스로 전환됐습니다. 수입은 0.2% 증가한 483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품목별 수출 실적: IT 분야와 자동차 산업 회복 조짐

반도체 수출 소폭 감소에도 불구하고 IT 분야 개선

반도체 수출은 96억 달러(-3.0%)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의 양호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범용 메모리 반도체(DDR4, NAND) 고정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 DDR4 8Gb: 전년 동월 대비 25.0% 하락

- NAND 128Gb: 전년 동월 대비 53.1% 하락

 

반면 IT 분야에서는 수출의 긍정적인 신호가 확인됐습니다.

- 컴퓨터 SSD: 8억 달러(+28.5%), 14개월 연속 증가

- 무선통신기기: 15억 달러(+42.3%), 플러스로 전환

 

자동차·바이오헬스 수출 호조

자동차 수출은 61억 달러(+17.8%)를 기록하며 3개월간 이어진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플러스로 전환됐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차 수출이 13억 달러(+74.3%)로 전년 동월 대비 50% 이상 크게 증가했습니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14억 달러(+16.1%)를 기록하며 바이오의약품 수출(6억 달러, +45.5%)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석유제품 수출 감소

석유제품 수출은 39억 달러(-12.2%)로 감소했습니다. 휘발유, 경유 등 주요 석유제품의 국제가격 하락과 주요 정유사의 정기보수 일정으로 인한 생산물량 감소가 원인입니다.

- 국제 휘발유 가격: $95.6/b(20242) $84.8/b(20252), -11.3%

- 국제 경유 가격: $106.5/b(20242) $91.7/b(20252), -13.9%

 

지역별 수출 현황: 아세안·인도·중동 시장 호조

20252월에는 9대 주요시장 중 4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주요 시장별 수출 실적

- 중국: 95억 달러(-1.4%), 반도체 수출 둔화에도 무선통신기기·일반기계 등 호조

- 미국: 99억 달러(+1.0%), 소폭 증가

- 아세안: 96억 달러(+12.6%), 역대 2월 중 2위 실적

- 인도: 17억 달러(+18.6%), 역대 2월 중 최대 실적

- 중동: 17억 달러(+19.6%), 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2025년 2월 수출입, 무역수지 동향 및 월별 추이.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수입 및 무역수지 분석

2월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0.2% 증가한 483.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에너지 수입은 94억 달러(-21.5%)로 감소했으나, 에너지 외 수입은 389억 달러(+7.4%)로 증가했습니다.

2월 무역수지는 43.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4.5억 달러 개선됐습니다. 특히 2월 흑자 규모가 1월 적자폭(-19억 달러)을 크게 초과하면서 1~2월 무역수지 누계도 24억 달러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정부의 평가 및 대응 방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월에는 1월 주춤했던 수출이 반등하면서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에 달성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미 신행정부의 연이은 무역·통상 조치 발표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유지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기업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역대 최대 규모 366조 원 무역금융 공급 관세피해 우려 기업에 대한 선제적 애로 해소 글로벌 사우스 중심의 시장 다변화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향후 전망

2025년 초반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글로벌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특히 미국의 새로운 무역·통상 정책이 한국 수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다변화를 추진한다면, 2025년 수출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