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주택시장 전망: 정부 정책이 좌우할 중요한 시기

by 행복한리더 2025. 3. 17.
반응형

2025년 주택시장은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가 예상됩니다. KB금융지주가 발간한 ‘2025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주택시장은 지난해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했던 패턴에서 벗어나 안정화 추세에 접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는 정부의 정책 방향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주요 전망 포인트

- 지역별 차별화 심화: 선호도에 따른 지역별 차별화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 정부 정책의 영향: 대출 규제와 공급정책 구체화 등 정부 정책 방향이 주택시장 흐름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 비수도권은 전문가와 중개업소 모두 하락을 전망한 반면, 수도권은 전문가들의 상승 전망과 중개업소의 하락 전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 회복 시기: 주택시장 회복 시기로는 2025년 하반기가 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이 주택시장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을 형상화한 그림(왼쪽), 금리와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오른쪽 그래프 출처는 ‘2025 KB  부동산 보고서 ’

 

2025년 주택시장 7대 이슈

KB 부동산 보고서는 2025년 주택시장의 7대 이슈를 다음과 같이 선정했습니다.

- 공급물량: 주택시장 불안의 핵심 요인

- 비수도권 주택시장: 침체 지속과 반등 가능성

- 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 2025년 주택시장의 핵심 변수

- 비아파트 시장: 서민의 주된 주거 수단 정상화 가능성

-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우려와 기대 속 본궤도 진입

- 서울 아파트 시장: 주택 경기 판단의 바로미터

- 전세시장: 지속되는 상승세와 불안 요인

 

전문가 전망

- 매매가격: 전국적으로 하락 전망이 우세하나, 수도권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립니다.

- 전세가격: 수도권은 상승 전망이 우세하고, 비수도권은 상승과 하락 전망이 비슷합니다.

- 투자 유망 부동산: 신축 아파트 및 분양 아파트가 유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2025년 주택시장은 전반적인 하향 안정세 속에서 지역별·유형별 차별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의 매매 및 전세가격은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비수도권은 보합 또는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의 정책 방향과 대출 규제, 공급 정책 등이 주택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니,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