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외금융계좌 신고 6월 30일까지|놓치면 과태료 폭탄

by 행복한리더 2025. 5. 29.
반응형

6월 30일, 해외금융계좌 신고 마감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해외 주식, 가상자산, 외화예금, 유학 송금 등으로 인해 해외계좌를 보유하고 있다면 한 달 안에 신고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대상은 '상시 5억 보유자'가 아닙니다. 월말 기준으로 잔액이 단 하루라도 5억원을 넘긴 적이 있다면, 이미 신고 대상일 수 있습니다.

국세청은 약 1만4000명에게 신고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입니다. 안내문을 받지 않았다고 해서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관련 썸네일.

 

해외금융계좌 신고 마감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신고 대상 기간: 2024년 1~12월 중, 한 달이라도 말일 기준 5억원 초과 시
신고 대상 자산: 해외 주식, 외화 예금, 가상자산, 해외 펀드, 외화보험, 유학 송금 계좌 등
신고 대상자: 국내 거주자 (법인 및 개인)
신고 마감일: 2025년 6월 30일 월요일

2023년부터는 가상자산도 포함되기 때문에,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 계좌도 예외가 아닙니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관련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이런 계좌가 있다면 신고 대상

- 미국 주식 투자로 해외 증권사 계좌 보유
- 바이낸스·코인베이스 등 해외 거래소에 코인 보유
- 외화보험 해지로 인한 일시적 잔액 초과
- 자녀 유학비 송금용 해외 계좌 이용
- 유튜브·아마존·페이팔 등 해외 수익 계좌 보유

 

단 하루만 5억원을 초과해도 전체 연도 신고 대상입니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관련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해외금융계좌 신고 방법

홈택스 접속 → ‘해외금융계좌 신고’ 선택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로그인
해외계좌 정보, 최대 잔액 입력
제출 전 입력 정보 확인 후 신고 완료

계좌가 여러 개이거나 금액이 클 경우, 세무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관련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신고하지 않으면 생기는 불이익

- 신고 의무 위반 시 미신고 또는 과소신고 금액 10%의 과태료(10억원 한도) 부과
- 미(과소)신고 금액이 50억원을 초과하면 형사처벌과 명단공개 대상

 

해외금융계좌 신고 관련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국세청은 이미 알고 있다…“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

‘나는 아닐 것이다’라고 넘겼다가 뒤늦게 확인해 낭패를 겪는 사례는 매년 반복됩니다. 해외금융계좌는 고액 자산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투자·송금·코인 등 일상 속 자금 흐름과 직결됩니다.

6월 30일 마감 전에 홈택스에 접속해 해외금융계좌 보유 여부를 점검하고, 신고 대상에 해당된다면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홈택스 바로가기

 

홈택스 해외금융계좌 신고 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