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형 산불 원인 제공한 실화자에 손해배상 책임…법적 쟁점과 현실

by 행복한리더 2025. 3. 28.
반응형

최근 영남권을 강타한 대규모 산불이 심각한 피해를 남기면서, 산불 발생 원인과 책임에 대한 법적 논의가 뜨겁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산불 원인은 주로 개인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失火),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20253, 영남권을 덮친 대규모 산불이 심각한 피해를 남기면서, 산불 발생 원인과 책임에 대한 법적 논의가 뜨겁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산불 원인은 주로 개인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失火),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산불과의 처절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산불진화대. SBS뉴스 영상 캡처

 

산불 원인과 실화자의 법적 책임

현재까지 밝혀진 산불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북 의성: 성묘객이 묘지 정리 중 실수로 불을 냄

경남 산청: 잡초 제거 중 예초기에서 튄 불씨

울산 울주: 용접 작업 중 발생한 불씨

 

산림보호법에 따르면, 고의적인 방화뿐만 아니라 실수로 산불을 낸 경우에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져야 합니다.

무섭게 번지고 있는 산불. SBS뉴스 영상 캡처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의 범위

민법 제750조에 따라 실화자들은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배상 범위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재산상 피해(산림, 농지, 주택, 상가 등)

인명 피해에 대한 배상

이재민의 정신적 피해에 따른 위자료

진화 작업 비용(소방 인력, 장비, 헬기 등)

기타 공공 자원 투입 비용

문화재가 훼손된 경우 보험사의 구상권 청구

산불과의 처절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산불진화대. SBS뉴스 영상 캡처

 

실제 배상의 한계

그러나 실제 배상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이 존재합니다.

법원은 피해자가 주장하는 금액보다 낮은 손해액을 산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민법은 배상자의 생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상액 경감을 허용합니다.

바람, 기상 조건 등 외부 요인도 피해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될 경우 배상액이 크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

 

과거 사례로 본 배상 현실

2019년 강원도 고성·속초 산불은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주에서 튄 불꽃이 원인이었으나 법원은 한전의 배상 책임을 370억원 중 27억원만 인정했습니다. 이는 강풍 등 자연력과 지형이 불길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고려된 결과입니다.

 

2019년 전남 화순군에서 쓰레기를 태우다 산불을 낸 남성은 13400만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를 당했으나, 최종적으로 1260만 원만 배상하라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처럼 법원은 실화자에게 모든 피해를 배상하도록 하지 않으며, 실제 배상 금액은 피해자가 기대하는 수준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산불과의 처절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산불진화대. SBS뉴스 영상 캡처

 

결론

최종적인 배상액은 법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영남권 산불의 경우에도 실화자들이 실질적인 전체 피해를 배상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합니다. 결국 재난지원금과 국비 등을 통해 국가가 피해 복구를 지원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산불 예방의 중요성과 함께 대형 재난 발생 시 손해배상 책임의 한계와 국가적 차원의 대응 필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