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언셀러 작가 김호연이 지난해 4월 신작 '나의 돈키호테'로 독자들을 찾아왔습니다. 150만부 판매 기록을 세운 '불편한 편의점'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어,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 목록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김호연 작가의 '나의 돈키호테' 내용과 작가의 창작 의도, 작품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김호연, 밀리언셀러 작가의 여정
김호연 작가는 2001년 영화사 시나리오 작가로 시작해 출판 편집자, 만화 스토리 작가 등 다양한 분야를 경험한 후 2007년 전업 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2013년 장편소설 '망원동 브라더스'로 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서울 청파동의 한 편의점을 배경으로 우리 이웃들의 이야기를 따뜻하게 그린 '불편한 편의점'(2021)과 '불편한 편의점2'(2022)를 통해 대중적인 사랑을 받으며 밀리언셀러 작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나의 돈키호테', 고전의 재해석
'나의 돈키호테'는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명작 '라만차의 기발한 신사 돈 키호테'를 모티브로 한 작품입니다. 세르반테스의 원작이 기사 소설에 심취한 중년 남자 돈키호테가 세상에 정의를 세우겠다는 꿈을 안고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라면, 김호연의 '나의 돈키호테'는 꿈을 좇아 모험을 감행하는 현대판 돈키호테와 그의 영향을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시간을 오가는 꿈과 모험의 여정
2003년, 돈키호테 비디오
2003년 대전 구도심의 '돈키호테 비디오'는 동네 중학생들의 아지트입니다. 자신을 한국의 돈키호테라 부르는 독특한 개성의 주인 '돈 아저씨'는 아이들에게 영화를 보여주고, 책을 함께 읽고, 토론하고, 때로는 과외도 해주는 너그러운 인물입니다. 외롭고 심심한 청소년들에게 이곳은 놀이방이자 공부방이 되었고, 돈 아저씨는 그들에게 '꿈을 가지고 나아가라'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했습니다.
2018년, 유튜브 채널 '돈키호테 비디오'
15년이 지난 2018년, 외주 프로덕션 PD 솔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서 하루아침에 해고되어 좌절한 채 고향 대전으로 내려옵니다. 백수 생활을 벗어나기 위해 유튜브 방송을 계획하던 솔은 카페로 바뀐 옛 비디오 가게 자리에서 우연히 돈 아저씨의 아들 한빈을 만납니다. 한빈은 3년 전 종적을 감춘 아버지를 찾아야 한다며 솔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솔은 자신을 '산초'라 부르며 항상 응원해주던 돈 아저씨가 그리워집니다. 자신이 방송 PD가 된 것도 돈 아저씨의 영향이었음을 깨닫게 된 솔은 지하 공간을 유튜브 스튜디오 삼아 과거의 추억을 소개하고, 한빈과 함께 돈 아저씨를 찾아 나서는 방송을 시작합니다. 채널명은 '돈키호테 비디오', 그리고 자신은 '찐산초'라 명명합니다.
꿈을 좇는 모험의 여정
솔과 한빈은 성격 차이로 자주 다투면서도 대전에서 서울, 통영, 부산 등 돈 아저씨의 흔적을 찾아 여행을 떠납니다. 과거 돈 아저씨가 '라만차 클럽 아미고'라 불렀던 비디오 가게 단골 친구들을 만나며 돈 아저씨의 행방을 추적해 나갑니다. 이 여정은 단순히 한 사람을 찾는 여행이 아닌, 자신의 꿈과 삶의 의미를 되찾아가는 모험이 됩니다.
김호연이 말하는 '나의 돈키호테'
김호연 작가는 인터뷰에서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와 돈키호테라는 캐릭터를 너무 좋아한다"고 밝히며, 자신의 모습이 작품에 많이 투영되었다고 말했습니다. "돈키호테가 풍차에다 마구 들이대듯이 저 자신도 풍찬노숙하는 돈키호테처럼 무모한 도전을 많이 했다"며, 하고 싶은 일과 꿈이 있었기에 힘들어도 계속 모험을 이어올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돈에 집착하고 위축되어 있는 상황을 언급하며, "돈키호테가 상징하는 게 바로 모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돈과 상관없이 꿈을 갖고 도전하고, 또 모험을 해도 괜찮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다"며, "이 시대에 이런 돈키호테의 정신이 필요하기도 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김호연 문학의 집대성
출판사 나무옆의자는 '나의 돈키호테'를 김호연 문학의 결정판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 작품에는 그의 이전 작품들의 특징적 요소들이 모두 담겨 있다는 것입니다. 라만차 클럽 멤버들과 돈 아저씨의 우정은 '망원동 포 브라더스'를 연상시킵니다.
대전에서 시작해 서울, 통영, 제주, 스페인까지 이어지는 여정은 '연적'의 두 라이벌 여행을 떠올리게 합니다. 대리 번역 문제는 '고스트라이터즈'의 세계와 겹쳐 보입니다. '돈키호테'라는 고전을 모티프로 삼은 점은 '파우스터'와 연결됩니다. 비디오 대여점이라는 공간은 '불편한 편의점'의 '올웨이즈 편의점'과 닿아 있습니다. 출판사는 이 모든 요소들이 작품 속에 용해되어 독창적이고 환상적인 이야기가 탄생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마치며: 현대사회에 필요한 돈키호테 정신
'나의 돈키호테'는 단순한 소설이 아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꿈과 도전, 모험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작품입니다. 물질적 가치만을 좇아 정작 자신의 꿈은 잊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김호연은 돈키호테의 정신을 빌려 "꿈을 가지고 모험을 떠나도 괜찮다"는 따뜻한 위로와 격려를 전합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잊고 있던 자신의 꿈을 되찾고, 비록 무모해 보일지라도 그 꿈을 향해 도전하는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김호연 작가의 '나의 돈키호테'가 현대판 돈키호테들에게 영감을 주는 소중한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봅니다.